[2023년 트렌드 키워드 10가지]
R:평균실종(Redistribution of the Average)
A:오피스빅뱅(Arrival of a New Office Culture)
B:체리슈머(Born Picky, Cherry-sumer)
B:인덱스 관계(Buddies with a purpose:Index Relationships)
I:뉴디맨드 전략(Irresistible! The New Demand Strategy)
T:디깅 모멘텀(Through Enjoyment:Digging Momentum)
J:알파세대(Jumbly Alpha Generation)
U:선제적 대응기술(Unveiling Proactive Technology)
M:공간력(Magic of Real Space)
P:네버랜드 신드롬(Peter Pan and the Neverland Syndrome)
1. 평균실종(Redistribution of the Average) ‘중간’이 사라지고 있다. 경제적 양극화, 소비의 개인화, 가치의 다양성 증대로 모든 분야에서 그동안 당연하게 여기던 전형성이 사라지고 있다. 불확실한 상황의 발생을 언제나 염두에 두고, 대체 불가능한 탁월함·차별화·다양성이 필요한 시장으로 바뀌고 있다.
2. 오피스빅뱅(Arrival of a New Office Culture) 인재가 떠나가고, 조직 문화가 바뀌며, 노동시장의 시스템이 변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근무 패러다임 변화, 절차적 공정을 추구하는 세대의 노동시장 진입, 조직보다 나를 중시하는 가치관의 확산으로 인해 일을 둘러싼 변화가 ‘빅뱅’급으로 일어나고 있다.
3. 체리슈머(Born Picky, Cherry-Sumer) 1인 가구의 확산으로 인한 소비변화, 세계적인 경제 위기로 인해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자 다양한 소비전략을 펼치는 '체리슈머'들이 등장 ‘체리슈머’들은 자신이 필요한 만큼만 딱 맞춰 구매하는 ‘조각 전략’으로 실속을 챙기고, 함께 모여 소비하는 ‘반반 전략’으로 절약을 도모한다. 그리고 ‘말랑 전략’으로 유연한 계약을 찾으며 리스크를 줄인다.
4. 인덱스 관계(Buddies with a purpose:Index Relationships) 인간관계에 색인을 붙여 전략적으로 관리하는 현대인의 관계 맺기 방식. 선망하는 ‘인친’, 함께 덕질하는 ‘트친’ 최신 뉴스를 알려주는 '페친' 동네에서 만나는 ‘실친’에 이르기까지 넘쳐나는 소셜미디어가 다양한 인간관계를 만듦
5. 뉴디맨드 전략(Irresistible! The New Demand Strategy) 비슷비슷한 제품이 가득한 '상품과잉의 시대'에 대체 불가능한 수요 창출 전략으로 소비자에게 필요하다는 느낌을 들게 하여 수요를 창출하는 방법.
6. 디깅모멘텀(Throught Enjoyment:Digging Momentum) “ㅇㅇ에 진심”인 사람이 늘고 있다. 한 분야를 깊게 파고드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취미생활을 넘어 나의 행복과 성장을 위해 좋아하는 것에 과몰입하는 행위와 방법.
7. 알파세대(Jumbly Alpha Generation) Z세대의 다음 세대인 ‘알파세대*’는 2010년 이후에 태어나 디지털 환경에 매우 익숙. 베이비붐 세대를 뛰어넘어 인류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잠재고객을 향한 시장의 기대가 벌써 커지고 있다. *알파세대 : 2010년 이후에 태어난 13세 이하
8. 선제적 대응 기술(Unveiling Proactive Technology) 소비자의 전후 사정을 영리하게 파악해 미리 대응하는 기술. 소비자가 모르는 욕구를 먼저 파악하고 아직 발생하지 않은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상상력을 누가 먼저, 더 적합하게 발휘하느냐가 선제적 대응기술 경쟁력의 승부처가 될 것이다.
9. 공간력(Magic of Real Space) 사람을 모으고 머물게 하는 공간의 힘. 물건을 판매하기만 하는 곳을 넘어, 사람을 끌어모으고 소통하며 알리는 매체로서의 공간 개념이 중요해질 것이다.
10. 네버랜드 신드롬(Peter Pan and the Neverland Syndrome) 사회 구성원 모두가 스스로를 나이보다 젊다고 여기고 어른이라고 불리는 것을 즐거워하는 현상을 가리키는 가치중립적인 용어. 우리 사회의 유년화는 단지 일부의 취향이 아니라 사회 전체의 ‘사고방식’, 나아가 ‘생활양식’이 되고 있다.[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2023년 트렌드 전망]
2023년의 트랜드는 아직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정확한 답변을 제공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현재 시대의 경향성과 기술 발전, 사회 변화를 고려할 때, 몇 가지 가능성 있는 트랜드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 기술이 더욱 발전하며, 기업과 기관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블록체인 기술이 더욱 보급되며, 디지털 자산과 암호화폐 등의 활용이 더욱 확산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녹색 에너지 및 친환경 산업이 더욱 발전하여, 기존 에너지 산업에 대한 대체재로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코로나19 팬데믹의 종식으로 인해, 협업 및 교류를 위해 더 많은 비대면 플랫폼이 발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5G 기술의 보급 및 개발로, 가상 및 증강현실 기술, 자율주행 자동차, 무인 항공기 등의 새로운 산업 분야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트랜드는 단순한 예측으로 끝나지 않고,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변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트랜드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준비하는 것은 더욱 미래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2023년 주식 준비]
2023년 트렌드 전망을 통해 주식투자 바스켓을 준비해야 할것 같습니다
키워드 중심과 발전가능한 분야에 대해서 우선순위 회사와 관련이 깊은
네트워크 회사를 찾아서 주식투자계획을 지금 부터 차분하게 준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